(사) 한국고전문화연구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스킵 네비게이션


도농상생

도농상생이란

(유)나눔푸드

얼음골농원

후원안내

맨위로

우리를 위한 오늘 모두를 위한 내일 (사)한국고전문화연구원은 전통문화의 보존과 새로운 한국 문화를 창조하는데 앞장서겠습니다.
[최명희문학관] 전시_ <언어는 정신의 지문: 「혼불」에 담긴 지문展> 보러오세요
이름 임미연 등록일 2013-04-22 11:10:37 조회수 1600  
언어는 정신의 지문(指紋)이다.
나의 넋이 찍히는 그 무늬를 어찌 함부로 할 수 있겠는가.
나는 「혼불」을 통하여 순결한 모국어를 재생해 보고 싶었다.
전아하고 흐드러지면서 아름답고 정확한모국어의 뼈와 살
그리고 미묘한 우리말 우리 혼의 무늬를 어떻게 하면 복원할 수 있을까.
그것은 늘 나를 사로잡는 명제였다.
∥최명희 수필 「언어는 정신의 지문」 중에서

너무 일찍 세상과 이별한 작가 최명희(1947-1998). 그는 스스로 ‘정신의 지문’이라고 늘 강조했던 아름다운 언어와 치열한 문학정신을 10권의 「혼불」과 독자들의 가슴 깊게 새겨 놓고 떠났습니다.
최명희문학관(관장 장성수)은 소설에 담긴 언어들을 미술작품으로 만나는 <「혼불」에 담긴 지문展>을 마련했습니다.
전 시 명: 「혼불」에 담긴 지문展
일 시: 2013년 1월 2일 – 12월 31일
장 소: 최명희문학관 독락재 앞
초대작가: 최지선
전시내용: 소설 「혼불」 속 의성어·의태어를 헝겊에 새긴 작품 18점 전시
초대작가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서양화가 최지선 씨(31). 사르락, 관옥, 바듬히, 우수수, 울멍줄멍, 춘애, 부숭숭, 어씩어씩, 둠벙, 퍼스르르, 고무락거리다, 덩클덩클하다, 너훌너훌, 포르릉 등 「혼불」에 담긴 의성어·의태어들은 작가 특유의 독창적인 작품 18점으로 다시 살아났습니다.
좁고 긴 형형색색의 헝겊 조각들을 겹으로 붙이고 그 안에 솜을 넣은 뒤, 한 땀 한 땀 바느질로 글자를 표현한 방식이며, 각각의 글자들은 울퉁불퉁 튀어나오고 부풀어 올라 마치 글자들이 살아 있는 것 같은 입체감 있는 표현이 되었습니다.
미술작품이 된 「혼불」에 담긴 언어들을 만지고 느껴 볼 수 있도록 독락재 앞 기둥에 전시했습니다. 관람객들이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혼불」을 한 장 한 장을 넘기며 숨바꼭질 하듯, 보물찾기 하듯, 아끼는 사탕을 녹여 먹듯이 언어들을 챙겼습니다. 손수 이불을 꿰매고 만들어 주신 어머니의 정성처럼 수를 놓듯 작품 속 모국어들을 새겼습니다. 아랫목의 푹신한 이불처럼 한 겨울의 추위를 조금이라도 녹여주었으면 합니다.
10권 분량의 「혼불」을 펼치면서 막막했던 마음은 작품에 담긴 최명희 선생님의 무궁무진한 표현력으로 사르르 녹게 되었습니다. 최명희 선생님과 같은 성씨라는 것만으로도 굉장히 자랑스럽습니다. 「혼불」을 삶의 지침서로 삼아야겠습니다.”(작가 최지선)
최지선 씨는 전주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 지금까지 4회의 개인전을 진행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최명희문학관은 지역의 미술인들과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면서 인연을 맺고 있습니다. 최명희 선생의 작품 제목들을 형상화한 전시물은 고(故) 지용출 화가와 서예가 이승철, 한지로 제작된 전시관 조명등은 이근수(전북민미협 회장), 최명희 선생의 초상화는 화가 이주리·박시완, 한옥마을 엽서는 서예가 김두경과 화가 진창윤·임승한·한숙·김윤숙, 만화가 나병재, 혼불 필사본들을 쌓아 놓은 탑은 화가 박승남·김미라, 청년문학상 작품들을 쌓아 놓은 탑은 임채준(태조공예 대표), 문과 창의 꽃장식은 권금이(온고을공예방 대표), 문학관 내외의 장식물은 조각가 신순철과 화가 장우석·황진영·정소라 등이 참여했습니다.
좋은 작품을 주신 모두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작품에 활용된 단어들과 뜻

혼불의 언어

의 미

사르락

물건이 쓸리면서 가볍게 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

관옥

남자의 얼굴이 아름다움을 비유하여 쓰는 말

잣바듬히

몸을 약간 뒤로 비스듬히 벋는 모양새를 표현한 부사로 이해됨

우수수

물건이 한꺼번에 수북하게 쏟아지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

울멍줄멍

엇비슷한 체구의 사람들이 많이 있는 모양

춘애

봄에 피어오르는 아지랑이

부숭숭

살이 부어오른 모양

어씩어씩

어슷비슷하게 늘어선 모양새

둠벙

웅덩이의 방언

퍼스르르

가루가 뭉친 덩이의 물기가 말라, 쉬이 부서지는 모양의 어감을 살려 표현한 말

고무락거리다

몸을 느리게 자꾸 움직이다

덩클덩클하다

덩어리가 물에 완전히 풀리지 아니하고 약간씩 뭉쳐 남아있는 모양새를 가리키는 전라 방언

너훌너훌

나훌나훌보다 어감이 큰 말. ‘너울너울과 비교됨

포르릉

작은 새가 갑자기 매우 가볍게 나는 소리

함께 전시된 단어들
갬치(개미) 거진(거의) 걸판지다(걸다) 고숩다(고소하다) 곱쟁이(곱절) 귀영머리 귀영텡이 그께잇(그까짓) 기양(그냥) 기엉코(기어이) 기연시(기연히) 까깝하다(답답하다) 깜밥(누룽지) 꼬소롬하다(고소하다) 꼽꼽하다(꼼꼼하다,인색하다) 꽹매기(꽹과리) 내비두다(내버려두다) 눈꼽째가리(눈곱) 달챙이(모지랑숟가락) 더트다(뒤지다) 돋구다(돋우다) 됩데(도리어) 드글드글허다(득시글하다) 때미(때문에) 똑바라지다(똑바르다) 뜨시하다(뜨듯하다) 뜽금없이(뜬금없이) 말강물 매급시(맥없이) 매꼬롬하다(매끄럽다) 매시랍다 맹이(모양) 버팅기다(버티다) 벙글다(벌어지다) 보고리 보도시(간신히) 보독씨리다(부리다,넘어뜨리다) 빗감을않다 뽀짝(바싹,바짝) 사운거리다(살랑거리다) 삼시랑(삼신(三神)) 새살까다(새살거리다) 생지랄(지랄) 속새로(속으로) 솔찬히(상당히) 숭보다(흉보다) 싸가지(싹수) 쌨다(많다,흔하다) 쓰잘데기없다(쓸데없다) 씰닥쟁이(쓸데) 아측(아침) 애돌하다(안타까워하다) 양글다(야물다) 어클다(엎지르다) 에럽다(어렵다) 옴시레기(모두) 요상시럽다(이상스럽다) 우세두세(두런두런) 웅숭그리다(움츠리다) 이무럽다 자빠지다(넘어지다) 제금나다 지댄허다·지드란허다 징허다 짬매다 쬐깐허다 찌클다 찰지다(차지다) 크막하다(큼직하다) 틉지다(툽툽하다) 틉틉하다 폭폭하다 허천나다 가슴애피(가슴앓이) 감시르르 귀살스럽다 깔담살이 삭연하다 깨금발(앙감질) 다보록하다 무람없다(예의가 없다) 사운거리다(소곤거리다) 발싸심 수굿하다 숭어리 풍연 쑤실쑤실 쾌연하다 아리잠직 아슴하다 함초롬하다 흡월정 오보록하다 찰찰이 욜랑욜랑 작달비 울멍줄멍 조붓하다 중뿔나다 암상스럽다

목록 글쓰기
전체 249
게시판 리스트
번호 제 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9 2013 한국의 시·서·화(이야기 콘서트)가 오는 22일(토) 관리자 13-06-20 1257
8 2013년 유쾌한 인문학 file 관리자 13-05-09 1239
7 전주 한지문화축제 행사일정 file 임미연 13-05-02 1180
화살표 [최명희문학관] 전시_ <언어는 정신의 지문: 「혼불」에 담긴 지문展> 보러오세요 임미연 13-04-22 1601
5 왕실의상 특별전 file 임미연 13-04-22 1397
4 2013 교동아트 레지던시 기획전 file 임미연 13-04-22 1260
3 2013년 엄마 아빠랑 함께하는 숲체험교실 운영 임미연 13-04-22 1341
2 토요문화학교-[패밀리의 힐링캠프] 모집안내 file 임미연 13-04-22 1379
1 4월 문화예술행사 file 임미연 13-04-12 1305
처음으로이전페이지 11 12 13 마지막으로
글쓰기